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모음

버크셔 해서웨이의 비상장 기업 투자 전략 분석

by 이번생에성공하자 2025. 3. 15.
반응형

서론: 버크셔 해서웨이는 왜 비상장 기업을 인수하는가?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주로 장기적인 가치 투자 전략을 바탕으로 성장해왔다. 많은 사람들이 버크셔 해서웨이를 애플, 코카콜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같은 상장 기업의 대주주로만 알고 있지만, 사실 버크셔의 성공은 비상장 기업 인수 및 투자 전략에서도 비롯되었다.

버핏은 기업 인수 시 단순히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대형 상장사뿐만 아니라, 비상장 기업(Private Companies)도 적극적으로 인수해왔다. 그는 시장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강력한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를 가진 기업을 오랜 기간 보유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렇다면 버핏은 어떤 기준으로 비상장 기업을 선택하며, 어떤 투자 전략을 활용할까? 이번 글에서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비상장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과 성공적인 사례를 분석해보겠다.


1. 버핏이 비상장 기업을 선택하는 기준

버핏은 상장 기업이든 비상장 기업이든 ‘좋은 기업을 합리적인 가격에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하는 비상장 기업을 선호한다.

1)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가 있는 기업

  • 경쟁사가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독점적인 강점을 가진 기업을 찾는다.
  • 강력한 브랜드, 높은 진입 장벽, 독점적 유통망 등을 보유한 기업을 선호한다.
  • 예: Dairy Queen(아이스크림 체인), See’s Candies(초콜릿 브랜드)

2) 강력한 현금 흐름과 꾸준한 수익성

  • 매년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을 선호한다.
  •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장기적인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 예: Nebraska Furniture Mart(가구 유통업체), BNSF 철도회사

3) 훌륭한 경영진이 있는 기업

  • 경영진이 윤리적이고,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 버핏은 인수 후에도 경영진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 예: FlightSafety International(항공 훈련 회사)

4) 복잡한 구조가 없는 간단한 사업 모델

  • 버핏은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사업 모델을 가진 기업은 피한다.
  • 예: McLane Company(물류 유통업체) – 단순한 사업 구조지만 강력한 네트워크 보유

5) 공정한 가격(Valuation)으로 거래되는 기업

  • 버핏은 지나치게 비싼 기업을 사지 않는다.
  • 낮은 가격에 인수해 장기적으로 가치를 키우는 전략을 선호한다.

2. 버크셔 해서웨이가 인수한 대표적인 비상장 기업 사례

1) See’s Candies – 작은 초콜릿 회사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 1972년, 버핏은 See’s Candies를 약 2,500만 달러에 인수했다.
  • 당시 See’s Candies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지고 있었고, 고객 충성도가 높았다.
  • 버핏은 See’s Candies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강화하고, 점진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 결과적으로, 매년 수백만 달러의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었다.

2) BNSF 철도회사 – 물류 산업의 핵심 인프라 투자

  • 2009년, 버크셔 해서웨이는 미국 최대 철도회사인 BNSF를 440억 달러에 인수했다.
  • 철도 산업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산업으로 평가받았다.
  • 버핏은 철도 운송이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 현재 BNSF는 버크셔 해서웨이에 매년 수십억 달러의 이익을 가져다 주는 핵심 자산이다.

3) Nebraska Furniture Mart – 작은 가구 매장이 전국적인 유통 강자로

  • 버핏은 1983년 미국 네브래스카주의 작은 가구 매장인 Nebraska Furniture Mart를 인수했다.
  • 창업자인 로즈 블럼킨(Rose Blumkin)의 뛰어난 사업 수완과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을 높이 평가했다.
  • 인수 후에도 기존 경영진을 유지하며, 기업의 자율성을 보장했다.
  • 현재 Nebraska Furniture Mart는 미국에서 가장 큰 가구 유통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

3. 버크셔 해서웨이의 비상장 기업 투자 전략

1) 인수 후에도 경영진을 유지하는 방식

  • 버핏은 기업을 인수한 후에도 기존 경영진이 계속 운영하도록 맡긴다.
  • 이는 경영진의 동기를 유지하고, 기업 문화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버핏은 단순히 "소유주" 역할을 하며,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할 뿐이다.

2) 장기 보유 전략(Long-Term Holding Strategy)

  • 버핏은 기업을 인수할 때 짧은 기간 안에 되팔 생각을 하지 않는다.
  • 그는 "10년 이상 보유할 생각이 없다면 10분도 투자하지 마라"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 예: See’s Candies, Nebraska Furniture Mart 등 수십 년간 보유한 기업들이 많다.

3) 배당과 현금 흐름을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 버크셔는 비상장 기업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다시 다른 투자로 돌리는 전략을 사용한다.
  • 예를 들어, See’s Candies가 매년 창출하는 현금은 다른 기업을 인수하는 데 활용된다.

4) 경기 변동에 강한 기업을 선호

  • 버핏은 경제 위기 속에서도 지속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업을 찾는다.
  • 철도, 유통, 가구, 식품 등 경기에 덜 민감한 산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결론: 비상장 기업 투자에서 배울 점

버크셔 해서웨이의 비상장 기업 투자 전략은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가 배울 수 있는 투자 교훈

  1. 경쟁력이 있는 기업을 찾아라 –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을 선호하라.
  2. 경영진의 역량을 중요하게 평가하라 – 경영진이 뛰어난 기업을 찾아라.
  3. 단기적인 유행보다 장기적인 가치에 집중하라 – 경기 변동에 강한 산업에 투자하라.
  4. 공정한 가격에 투자하라 – 과대평가된 기업보다 적절한 가격에 좋은 기업을 사라.
  5. 기업을 장기적으로 보유하라 – 짧은 기간 안에 팔 생각이라면 애초에 투자하지 마라.

버핏은 단순히 기업을 사고파는 투자자가 아니다. 그는 좋은 기업을 찾아 장기적으로 성장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는 일반 투자자들에게도 유용한 교훈이 될 수 있다.

반응형